
발달지원센터
검사프로그램
종합심리검사
종합검사는 연령에 따라 아동종합심리검사, 청소년종합심리검사 성인 종합심리검사로 구분되어 실시됩니다.
지능평가
웩슬러지능검사
개인의 지능 수준과 인지적 잠재력을 알려줄 뿐 아니라 각 개인의 인지적, 신경심리적
특성을 파악하여 임상적 진단을 명료화 할 자료 제공
벤더-게슈탈트 검사
심리검사의 통합적인 면을 가지고 있는 검사로 지각-운동적 기능과 더불어 개인의 인성, 기질적 문제, 정서적 문제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


정서 및 성격 평가
HTP 검사
그림을 통해 자기 및 대인 표상, 무의식적인 수준의 성격 구조, 사회적 상황에서의 대처
능력 등의 여러 가지 심리적 측면 파악할 수 있다.
로샤 검사
잉크 반점으로 이루어진 10장의 카드를 통해 내면의 역동 탐색
아동용 정서 척도
아동의 연령 수준에 맞춘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우울, 불안 등 정서상태 평가
문장완성검사
미완성된 문장을 완성하도록 하여 가치관, 자기지각, 대인지각, 정서상태 등 파악
다면적 인성검사
개인의 성격, 정서, 적응 수준 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하는 자기보고형 검사
인지기능검사
현재의 인지기능의 부족한 부분을 판단 할 수 있습니다.
검사결과를 통해 지적 수준에 맞는 교육적 개입을 고려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지적장애 판정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주의력 검사
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장애(ADHD) 유무, 양상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.
검사결과를 통해 주의집중력, 과잉행동, 주의산만 정도 등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
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습니다.
종학학습검사
현재 발휘되는 인지기능 수준과 지적 잠재력, 학업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.
학업부진이나 저하의 원인을 탐색하고 구체적인 대안을 찾을수 있습니다.
적성 · 진로검사
직업, 정성카드를 통해 진로유형의 결정 및 분류하는 활동을 통해 직업흥미, 가치, 욕구를
탐색하여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진로삼담의 기틀이 되는 검사입니다.


정서 및 성격 평가
아동의 정서적 사회적 상태파악을 위한 검사로 정서적 안정감, 적응상태, 의식적, 무의식적 욕구나 사회적 갈등,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, 타인에 대한 지각, 친구나 이성에 대한 태도 대인관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.
구체적 검사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투사적 성격검사 (Rorshach/CAT/TAT)
- 객관적 인성검사 (MMPI-2/MMPI-A/KPIC)
- 투사적 그림검사 (H-T-P/DAP/KFD)
- 문제행동검사 (K-CBCL/K-YSR)
- 문장완성검사 (SCT)
- 양육태도검사, 양육스트레스 검사
부모자녀관계평가
양육놀이, 양육태도 검사의 형태를 통해 부모 자녀 관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한 평가입니다.